우주의 기원
-
# 우주군 창설 이야기 2우주의 기원 2020. 8. 3. 20:57
#러시아 우주군 소련 붕괴 전에는 1967년에 창설된 방공군 혹은 직역으로 미사일-우주 방어 사령부(войска противоракетной и противокосмической обороны, ПРО 또는 PRO)가 우주군의 역할을 했다. 1987년 발사 실패한 전투 위성 폴류스도 이 부대 소속. 그러다가 소련 붕괴 후에 우주군(Космические войска России, 카스미체스키에 바이스카 라씨이)로 개편되어 1992년에 창설되었으나, 당시 러시아는 소련 붕괴의 여파로 거의 막장 상태였기 때문에 군 기구 축소에 열을 올렸고 1997년에 해체되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집권 후에 유가 상승으로 러시아 경제가 좋아지자 다시 2001년 우주군을 재창설했고, 2011년에 우주항공방위군(Войска..
-
# 우주군 창설 이야기 1우주의 기원 2020. 8. 2. 19:42
우주에 대한 관심만큼 우주군에 대한 이야기도 궁금한데요. 오늘은 SF영화에서가 아닌, 현실에서의 우주군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 미국의 우주군 미국은 이미 우주를 활동무대로 하는 모든 군사, 첩보 활동 분야를 세분화하여 미군의 군사작전 능력을 외우주 영역까지 넓히고 있다. 대표적으로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 미합중국 우주사령부와 우주국가안전보장국, 군사위성통신 지휘부 , 중앙 우주작전 센터 , 미공군 우주전투 연구소 등이 있다. 비록 종류도 많고 소속도 저마다 다르지만 이들의 임무는 대부분 대동소이해서 우주 군사위성의 관리와 첩보 활동, 우주 군사장비를 이용한 조기 경보 시스템을 운용, 적성국가의 미사일 무기 활동 감시 등을 맡고 있다. 이 중에 비교적 상위기관이라 할 수 있는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는 ..
-
#2. 암흑물질 후보들우주의 기원 2020. 7. 15. 10:37
저번 포스팅에 이어 암흑물질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 암흑물질은 정말로 존재할까? 아직 명확한 정체와 성질, 그 기원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점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암흑물질의 존재를 의심하게 만들었습니다. 게다가 암흑물질과 일반 물질만으로는 우주의 가속 팽창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암흑에너지라는 개념을 새로 도입해야 할지도 모르는 지경이 되었지요. 이를 비판하는 진영에서는 일반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고, 관측조차 불가능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는 기존 법칙에 어긋나는 현상에 그럴듯하게 이론을 끼워 맞춘 가설에 불과하며 과학의 패러다임이 바뀌면 폐기될 이론이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질량 보존의 법칙을 깨지 않으면서 유기물 연소 시 질량 감소를 설명하기 위해 (양의) 플로지스톤을, 금속 연소..
-
#1. 암흑물질이 도대체 뭐야?우주의 기원 2020. 7. 14. 17:32
오늘은 우주의 신비한 진실을 알아내는 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암흑물질에 대해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 암흑물질이란? 암흑물질(暗黑物質)이란, 중력을 통해 우주에 존재한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지만, 전자기파를 비롯한 다른 수단으로는 전혀 관측되지 않는 수수께끼의 물질들을 칭합니다. 원시 블랙홀, 비활성 뉴트리노, 혹은 원자가 되지 못하고 남은 쿼크 덩어리 등의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암흑물질에 대한 상세내용 중력장은 질량을 가진 입자만이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중력장이든지 그 중심에는 해당 중력에 상응하는 질량을 가진 물질이 있어야 합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물질은 모두 어떤 형태로든 전자기파와 상호작용 하기 때문에 관측을 통해서 발견되어야 하며, 심지어 빛도 빠져나오..
-
우주의 탄생, 빅뱅이론우주의 기원 2020. 7. 10. 13:26
우주의 탄생은 인류의 오랜 궁금증일 것입니다. 오늘은 우주 탄생에 대한 이론 중 하나인 빅뱅이론을 알아볼까 합니다. “모든 것의 최초에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불꽃놀이가 있었습니다. 그 후에 폭발이 있었고, 그 후에는 하늘이 연기로 가득 찼습니다.” -조르주 르메트르(Georges Lemaître), 윌슨산 천문대 세미나(1933) # 빅뱅이론이 뭘까? 빅뱅이론은 약 137억 9900만 년(±210만 년) 전에 발생한 대폭발을 시작으로 우주가 팽창했다는 이론입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현재 우주가 계속 팽창하고 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과거로 돌아가면 모든 것이 한 점에 모여 있었을 것이라 가정하고 그 점으로부터 팽창하여 현재 우주가 되었다는 가설입니다. 빅뱅이 발생했단 것이 현재 우주 탄생에..
-
우주 크기와 온도우주의 기원 2020. 7. 9. 13:33
우주, 아마 인류의 마지막 개척지가 될 곳으로 그만큼 신비롭고 궁금증으로 가득 찬 공간이겠죠. 오늘은 이 우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 우주의 크기는 얼마만 할까? 현재 알려진 우주의 나이는 약 138억 년이며, 인류가 관측 가능한 우주(Observable Universe)의 크기는 지구를 중심으로 반경 465억 광년(약 4.399×1026m)이므로 총 930억 광년의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관측 가능’이라는 말은 어디까지나 특정한 물체가 발하는 각종 파장 등의 신호가 '원리상' 현재 지구에 닿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관측 가능한 우주의 범위는 관측지인 지구를 중심으로 구 모양을 이루게 됩니다. 이 범위 밖에 대해서는 알 길이 없으며, 따라서 우주가 유한한지 무한한지..
-
블랙홀의 탄생과 종말우주의 기원 2020. 7. 5. 21:23
지난 포스팅에 이어 블랙홀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해보려 합니다. 그 첫 번째는 별의 붕괴였었죠.. 다른 원리들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블랙홀, 어떻게 만들어질까? 두 번째 : 중성자별의 붕괴 이미 항성 때부터 그만한 질량을 가지고 있거나, 초신성 폭발 이후 생성된 중성자별이 주변 물질을 꾸준히 모아 질량을 키우다가 한계 질량을 돌파하게 되면, 더 이상 중력으로 인한 천체의 수축을 막아낼 수 없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천체가 계속해서 수축되다가, 결국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을 넘어서서 끝없이 수축되죠. 그리고 그 붕괴 이후에 나타나는 것이 블랙홀입니다. 이외에도 중성자별 간의 충돌로 블랙홀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 가스의 직접 붕괴 초대질량 블랙홀의 경우 항성 질량 블랙홀과는 생성이 다를..
-
블랙홀, 네 정체가 뭐야?우주의 기원 2020. 7. 3. 11:14
# 블랙홀이 뭐야? 블랙홀은 극도로 높은 중력을 가지는 천체입니다. 탈출 속도가 광속을 넘기 때문에 빛을 포함한 어떤 물체도 탈출할 수 없다고 알려졌죠. 블랙홀이라는 이름은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검은 구멍만 보일 뿐이라서 붙었습니다. 그 실체는 이름처럼 공간에 구멍이 뚫린 것이 아니라 별의 잔해입니다. 다만 물질이 뭉쳐질 수 있는 한계까지 압축된 잔해이죠. 블랙홀의 본체는 중심의 특이점을 말하지만, 흔히 탈출속도가 광속을 넘어서는 사건의 지평선 이내의 공간을 블랙홀이라 부릅니다. #블랙홀, 어떻게 만들어질까? 첫 번째 : 별의 붕괴 항성의 크기를 유지하는 에너지는 항성 내부의 핵융합에서 나옵니다. 핵융합으로 발생하는 에너지가 중력을 이기고 항성을 구성하는 물질들을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항성은 막..